-
청년도약계좌 환승 조건 신청 금액슬기로운재태크생활 2024. 1. 15. 15:01반응형
청년도약계좌는 매달 70만원씩 납입시 5년간 최대 5000만원을 모을 수 있는 정부기여금 및 비과세 혜택(소득에 따라 다름) 을 제공받는 적립식 상품입니다. 자신이 내는 돈에 정부가 청년들을위해 지원해주는 돈까지 모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즉 70만원 X 12개월 X 5년 = 4,200만원을 적금하면 5,000만원으로 돌려준다는 상품으로 괜찮아 보이지만 여러 조건들을 충족시키기에는 쉽지 않은 상품입니다.
1. 청년도약계좌 조건
1) 연령조건 : 만 19~ 35세 청년 2024년 기준 (1990~ 2005년생) 병역을 이행했을 경우 최대 6년까지 연령 조건에서 제외
2) 소득 조건 : 개인 소득은 연 6,000만원 이하 ,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의 180% 이하
소득이 없는 취업준비생, 대학생등은 해당이 되지 않지만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다면 가능합니다.
2. 청년도약계좌 가입방법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취급 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신청 후 약 2주간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가입심사 후 게좌가 개설됩니다. 신청기간은 매월 달라지기 때문에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신청하는 월에 확인해야 합니다.
서민금융진흥원 주소 : http://www.kinfa.or.kr
은행에 따라 우대금리와 주거래 은행일때의 우대금리등 각 은행마다 꼼꼼히 살펴보시고 가입하는걸 추천합니다.
< 가구소득요건 >
3. 청년희망적금 VS 청년도약계좌 비교
청년희망적금고 청년도약계좌를 각각 50만원씩 적금했을 때 2년을 꽉 채웠을때 비교를 해봤습니다. 비교해보면 청년희망적금은 2년 꽉 채웠을 때 12,985,000원을 받지만 청년도약계좌는 14,185,888원을 받게 됩니다. 도약계좌가 압승입니다. 100만원 넘게 이자를 더 받게 되는 겁니다. 그래서 정부는 환승이라는 갈아타기를 인정해주었습니다.
4. 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를 검색창에 클릭 한 후 서민금융진흥원으로 들어가 신청하시면 됩니다.
5. 청년도약계좌 조건 환승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 환승이 가능해졌습니다. 두 상품을 비교해 보자면 먼저 두 상품 모두 비과세 혜택이 가능하지만 가입 기준이 조금 다릅니다.
<청년희망적금> 은 개인소득 3,6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 원 이하
<청년도약계좌> 는 개인소득 6,000만 원 이하, 가구 소득 중위소득 180% 이하
청년희망적금보다 기준이 완화된 청년도약계좌가 대상자가 훨씬 많습니다. 대신 기간이 5년이기 때문에 해지 없이 5년동안 적금을 넣을 수 있는 사람만이 하는게 좋겠습니다.
6. 청년도약계좌 조건 환승 방법
청년도약계좌 환승하는 방법은
1)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한 은행에 방문하여 청년도약계좌 환승을 원한다고 말합니다.
2) 은행 직원이 환승 방법과 절차를 안내해 줍니다.
3) 은행 직원이 환승 신청서를 작성 안내를 도와줍니다.
4) 완료되면 알림을 보내주고 마지막 환승이 완료된 후엔 청년도약계좌 통장을 사용하면 됩니다.
처음에는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한 후 개설은 우리, 국민, 신한, 기업, 농협, SC제일,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등에서 가능합니다.개설 시 신분증, 통장, 인감이 필요하며, 계좌 개설 후 모바일뱅크, 인터넷뱅킹, 은행창구에서 환승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환승 신청 시 본인명의의 통장, 신분증이 필요합니다.
5년이란 시간은 짧은 시간이 아닙니다. 환승하실때 본인의 소득이 앞으로 계속 유지가 될지랑 중간에 특별한 이벤트가 없는지 잘 생각해 보시고 가입하시는걸 추천합니다.
반응형'슬기로운재태크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육아휴직급여 인상 신청방법 (0) 2024.01.18 디딤씨앗통장 바뀐 혜택 (현금지원) 총정리 (0) 2024.01.18 2024년 최저시급 계산기, 최저임금 (1) 2024.01.14 2024년 최저시급 연봉 실수령액 표(세전, 세후, 연봉 1억까지) (1) 2024.01.14 2024년 최저시급 주휴수당 (1) 2024.01.13